기초교육 이동평균선 쉽게 이해하기
주식시장이나 파생상품시장에서 기술적 분석을 할 때 쓰이는 기본 도구 중 하나. 거래액, 매매대금, 주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접목할 수 있다. 과거의 평균적 수치에서 현상을 파악(주로 추세)하여 현재의 매매와 미래의 예측에 접목할 수 돕는 것이 목적이다.
예를 들어, 10일 이평선은 과거 10일 동안의 주가를 평균낸 값을 매일 점으로 표시하고, 이를 계속 이어서 표시하는 선이다. 이런 이평선과 현재 주가의 괴리가 얼마나 벌어져 있는가로 추세적 매매를 결정하는 것.
이동평균선은 과거 수치의 평균을 산정해낸다면 어떠한 방향성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가정에서 이동평균선이 등장하게 되었다.
단순이평(SMA)이 자주 쓰이지만 지수평균(EMA), 가중평균(WMA)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개미들이 주로 많이 쓰는 건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이평선이다. -출처 나무위키-
-----------------------------------------------------------------------------------------------------------------------------------
그럼 코인시장에서 쓰는 이동평균선은 365일 24간 움직이는장이므로 7,20,50,100,200 이런식으로 설정해서 보는경우가있고, 개인 매매 스타일마다 다르기 때문에 마진트레이딩같은 경우 SMA7일선을 많이 이용하기도한다.
그럼 이동 평균선은 쉽게말해 7일선=7일동안 평균값,100일선=100일동안 주가가 형성된 평균값이 이동한선으로, 아래일봉 차트를 보면
색깔 별로 7,20,50,100,200 을 구분 현재 2020-7-21기준으로 일봉 가격이 20일과 7일선의 데드크로스 시점에서 7일선을 뚫고 20일선의 저항을 받고있다.
내일 아침22일 9시 일봉마감이 캔들이 어느시점에서 마감이냐에 따라 20일선위로 마감된다면 다음목표가는 50일선까지 볼수있고 20일선과 7일 사이에 마감한다면 관망 다음날까지 지켜볼것 모래 음봉 생성이된다면 하방의 가능성이 열려있으며 하락한다면 1차 지지선은 100일선까지 볼수있다.
이런식으로 해석해서 본다. 혹은 설명한다.
노란색 동그라미(7일과20일선 데드크로스 역배열) 초록색 동그라미는(7일과20일선 골든 크로스 정배열) 보라색동그라미는 (50일과 20일 7일선의 역배열)로본다.
이런경우 50>20>7 긴시간동안 생성된 선보다 빠른시간에 형성된 이평선이 아래있으면 시장의 흐름은 안좋게 해석된다.
이동평균선에 대한 매매는 이동평균선 하나만 보는것이아닌 캔들의 모양과 저항으로 작용하던 7일과 20일선을 돌파했느냐 아니면 밀렸느냐로 해석해 매매 타이밍을 잡는다.
하방으로 내려올경우 100일선을 뚫고 내려와 다음날 꼬리를 남기고 몸통이 100일을 지지 한다면 단타 진입관점으로 볼수있으며 그다음 저항은 7일선과 20일 선이된다.
반대로 20일과 50일 선을 뚫고 상승하여 꼬리를 남기고 마감한다면 50일선이 저항으로 작용되어 다음날 음봉으로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 이럴경우 다시 7일선에서 지지확인후 매수를 고려해본다.
차트분석은 한가지 관점이아닌 여러가지 시각으로 해석하여 진입시점을 잡아야하며 100프로 교육받은대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속임수가 난무하고 어려운 시장에서 움직임을 포착하는건 매일 많은시간 시장을 연구하고 여러가지 시점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큰관점으로 엘리엇관점 패턴관점 등등 100%는 아니지만 어느정도 신뢰하는 지표를 선택해서 실험과 경험으로 자기만의 매매를 구축 하시기 바랍니다.
kr.tradingview.com/u/ROCKETXDIVE/#published-charts
트레이더 ROCKETXDIVE — 트레이딩 아이디어 & 차트
ROCKETXDIVE 의 차트, 예측 및 트레이딩 아이디어. 세계 최대의 액티브 트레이더 및 인베스터 커뮤니티로부터 마켓에 대한 독특한 보는 눈을 가져 보십시오.
kr.tradingview.com